비염은 비강점막의 염증으로 인해 콧물, 재채기, 코막힘, 소양증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을 나타내는 염증성 질환을 말하며, 급성비염(감기), 만성비염, 알레르기비염, 비후성비염, 위축성비염 등으로 분류합니다.
알레르기비염의 전형적인 증상은 콧물, 재채기, 코막힘, 코 가려움입니다. 콧물은 맑은 물처럼 보여 누렇고 진득진득한 감염성 비염과는 다릅니다. 코막힘은 한쪽 또는 양쪽에서 나타날 수 있고 야간에 잘 나타납니다. 코막힘으로 인해 입으로 숨을 쉬게 되며 코골이, 수면장애가 있게 됩니다. 알레르기비염이 만성화되면 안면 발달의 장애, 치아 부정교합, 멍하게 입을 벌리고 있는 아데노이드 얼굴이 나타나고, 코 가려움 때문에 코를 자주 찡그리거나 비비게 됩니다.
비염이 있는 환자들은 대부분 가족력을 가지므로 유전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그 외 꽃가루, 집먼지, 집먼지진드기, 곰팡이, 세균, 동물의 털, 비듬, 면역력저하, 약물남용 등이 알레르기비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일정한 계절에 수주에서 수개월간 비염 증상이 발생하는 계절성 알레르기비염은 꽃가루가 원인인 경우가 많고, 하루 중 2-3시간 이상, 1년중 9개월 이상 비염 증상이 발생하는 통년성 알레르기비염은 집먼지와 집먼지진드기가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계절성 알레르기비염이 통년성 알레르기비염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성비염이 장기간 계속되거나 만성축농증, 비중격만곡증이 있으면 끝내는 비강의 점막이 부어서 심한 코막힘 증상이 발생됩니다. 밤에 더욱 심해서 수면장애를 유발하고 이 때문에 낮에도 정신이 멍하고 건망증이 생기며 소아는 성장장애와 학습장애가 생기기도 합니다. 그 외 두통, 후각장애, 코맹맹이 소리, 끈끈한 콧물 증상이 있습니다. 치료는 코막힘 증상을 빨리 개선하는 것이 관건으로 약물요법과 더불어 비강내 침치료와 흡입치료가 권장됩니다.
위축성비염은 비강 점막을 수술로 과도하게 절제한 후나 내분비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만성적으로 비강의 염증이 지속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비강 점막이나 하비갑개 골이 만성적으로 위축되어 코막힘, 가피형성, 상기도 건조감, 악취를 호소합니다. 콧속과 머리가 답답하고 콧속의 딱지를 떼면 출혈이 있습니다. 위축성비염은 비강 점막의 재생이 치료의 관건이 되는데 장기적으로 화기(火氣)를 제거하여 열을 끄고 점막의 수분을 생성시켜야 합니다.
한의학에서는 비염의 원인을 폐의 기능 저하로 세균이나 바이러스감염이 잘 일어나고 양기의 부족으로 면역력이 저하되어 질병이 만성화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비염의 치료 목표는 현재의 증상을 소실시켜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 면역력을 증강시켜 급성 증상의 발생빈도가 낮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한약을 복용하고 보조적으로 침과 아로마 에센셜오일을 흡입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잘 치료됩니다. 또한 같은 비염으로 진단되었다 하더라도 재채기, 콧물, 코막힘, 소양감 등 증상의 경중을 따져 치료방법을 선택하고 연령과 성별, 체질에 따라 치료방법을 달리하게 됩니다.
1. 주증상 치료: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두통, 기침 중 심한 증상부터 순서대로 치료합니다.
2. 증상 치료+면역력 보강: 주증상이 어느 정도 완화되면 증상 치료와 동시에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 줍니다.
3. 면역력 보강: 증상이 소실되면 면역력을 보강하여 증상이 없는 깨끗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도록 합니다.
2017.07.10 | |
2016.04.06 | |
2015.02.13 |
2023.07.09 | |
2022.11.07 | |
2022.09.15 |
2023.10.04 | |
2023.09.13 |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