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은 기관지가 협착을 일으켜 호흡곤란, 발작적인 기침, 천명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발작적인 호흡곤란 때문에 밤을 꼬박 새우는 경우도 있지만 실제로는 마른기침만 반복적으로 나타나거나 가슴이 답답하고 목구멍에 가래가 걸려 있는 것 같은 증상만 있을 때도 있는데 이를 ‘천식의증’이라 합니다.
천식환자들은 찬공기, 담배공기, 배기가스, 자극성 냄새 등 여러 가지 자극에 대해서 기관지가 민감하게 반응해서 수축을 하는데 이를 기관지과민성이라고 하여 주로 알레르기 체질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동물의 비듬 등이 항원으로 작용할 수 있고 운동이나 정서불안, 특정 약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성적인 천식은 결국 폐기능의 감소를 초래해서 나이가 들수록 발작빈도가 잦아지고 호흡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조기치료가 중요합니다. 천식 치료의 목표는 증상의 개선과 함께 폐기능의 완전한 회복입니다. 즉, 발작기에는 증상을 치료하고 완해기에는 허약한 장부의 기능을 보강하여야 합니다. 한방치료의 장점은 원인에 대한 회피요법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기관지와 폐기능을 근본적으로 강화하고 과민성을 낮추는 데 있습니다.
2017.07.10 | |
2016.04.06 | |
2015.02.13 |
2023.07.09 | |
2022.11.07 | |
2022.09.15 |
2023.09.13 | |
2023.06.21 | |
2023.06.19 |